수비 방해란? 주루 플레이 도중

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타자나 주자가 수비수와 부딪히거나, 수비 동작을 방해하는 장면이 종종 등장합니다. 이때 심판이 “수비 방해!”를 선언하며 아웃을 판정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과연 어떤 상황에서 수비 방해가 성립되는 걸까요? 주루 플레이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비 방해의 정의와 판정 기준,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수비 방해란?

수비 방해(Interference)는 공격 측 선수(타자 또는 주자)가 수비수가 공을 처리하거나 송구하려는 정당한 플레이를 방해했을 때 선언되는 반칙입니다. 고의성이 없어도 수비 동작에 실질적인 지장을 주었다면 수비 방해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주루방해? 혹은 수비방해? 안전을 위한 네이버.. : 네이버블로그

[심.궁.해] 3피트 레인 수비방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가지 방법 - 야구공작소

[키워드-수비방해] ‘과격 슬라이딩’ 3피트 라인 안에선 무죄! - 동아일보


수비 방해가 성립하는 대표적인 상황

1. 타자의 방해

  • 포수가 도루를 저지하기 위해 송구하려는 순간, 타자의 배트나 몸이 포수의 동작을 방해한 경우

  • 판정: 타자 아웃, 주자는 원래 루로 복귀

2. 주자의 방해

  • 주자가 내야 땅볼 타구를 처리하려는 수비수의 앞을 가로막거나 접촉한 경우

  • 판정: 주자 아웃, 타자주자도 진루 인정 없이 복귀

3. 쓰리피트 라인 위반

  • 타자 주자가 1루로 달리는 도중 쓰리피트 라인(1루 베이스까지 이어지는 주루 제한선)을 벗어나 송구에 맞거나 수비를 방해한 경우

  • 판정: 타자 아웃


수비 방해 판정의 핵심 기준

  • 수비수가 공을 잡거나 송구하려는 정당한 동작 중이었는가?

  • 공격 측이 수비 동선에 물리적으로 간섭했는가?

  • 실제 수비 플레이에 영향을 주었는가?

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심판은 수비 방해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자주 발생하는 오해

상황수비 방해 여부설명
수비수가 공을 잡기도 전에 주자와 충돌❌ 아님수비가 플레이 중이 아니면 방해 아님
주자가 수비수 동선에 섰지만 공은 반대편으로 감❌ 아님실질적 영향 없으면 방해 아님
주자가 라인 벗어나 송구에 맞음✅ 방해쓰리피트 라인 위반으로 간주

수비 방해는 단순한 충돌이 아니라, 경기 흐름과 공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규칙입니다. 심판은 선수의 고의 여부보다는 수비 플레이에 실질적인 지장이 있었는지를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따라서 선수들은 주루 중에도 수비수의 동선을 인지하고, 불필요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