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건강검진 대상자 기준 및 검진 항목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건강검진과는 별도로 특수건강검진을 받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가 부담하며,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특수건강검진의 대상자 기준과 검진 항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수건강검진 대상자 기준

특수건강검진은 다음과 같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1. 화학적 유해인자

  •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알카리류, 가스상태 물질 등

  • 예: 벤젠, 납, 크롬, 아세톤, 염화비닐 등

2. 분진

  • 광물성 분진, 석면, 목재 분진, 용접 흄 등

3. 물리적 인자

  • 소음, 진동, 방사선, 고기압·저기압, 자외선·적외선 등

4. 야간작업

  • 6개월간 월 평균 4회 이상, 밤 12시~오전 5시 사이 연속 8시간 이상 근무

  • 또는 월 평균 60시간 이상 야간 근무 시





특수건강검진 시기 및 주기

  • 배치 전 검사: 유해인자 취급 전 반드시 실시

  • 배치 후 첫 검사: 유해인자별로 1~12개월 이내

  • 정기검진 주기: 유해인자에 따라 6개월 또는 12개월 주기

예를 들어, 벤젠에 노출되는 근로자는 배치 후 2개월 이내 첫 검진을 받고, 이후 6개월마다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특수건강검진 항목

검사항목은 유해인자별로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됩니다:

  • 직업력 및 노출력 조사

  • 병력 및 자각증상 문진

  •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

  • 폐기능 검사

  • 흉부 X-ray 촬영

  • 간기능, 신경계, 생식계 관련 검사

  • 청력검사 (소음 노출 시)

  • 야간작업자 대상 수면장애 및 심혈관계 문진

검사 전에는 최소 8시간 이상 금식이 필요하며, 특히 혈액검사 정확도를 위해 음주도 피해야 합니다.

특수건강검진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을 지키는 첫 번째 방어선입니다.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를 하고 있다면, 검진 시기와 항목을 정확히 숙지하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