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자식 간 계좌이체 현금 증여 세금
부모가 자녀에게 금전적인 지원을 할 때, 단순한 계좌이체라도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액의 송금이나 반복적인 금전 이동은 국세청에서 증여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자식 간 계좌이체와 현금 증여 시 적용되는 세금 기준과 절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부모-자식 간 계좌이체, 증여세 기준
1. 증여세 면제 한도 (2025년 기준)
부모가 자녀에게 금액을 증여할 경우, 일정 금액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성인 자녀: 부모 1인당 10년간 5,000만 원까지 비과세.
미성년 자녀: 부모 1인당 10년간 2,000만 원까지 비과세.
이 기준은 부모 1명 기준이므로, 부모가 각각 5,000만 원씩 증여하면 총 1억 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 가능합니다.
자녀 현금 증여, 증여세 안내는 방법 (가족간, 부모자식간 차용증) : 네이버 블로그
부모와 자식 간 계좌 이체, 상속세·증여세 폭탄 피하는 법은? | KB의 생각
2. 가족 간 계좌이체 시 주의할 점
단순 이체라도 차용증 없이 반복되면 증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정당한 대여라면 차용증 작성, 이자 지급, 상환 내역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계좌 송금만 있고 실제 회수가 없으면 증여로 추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증여세는 10년간 합산 적용
증여세는 동일인으로부터 받은 금액을 10년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2020년에 3,000만 원 증여
2025년에 3,000만 원 증여 → 총 6,000만 원 중 1,000만 원 과세 대상.
부모-자식 간 증여 시 절세 방법
증여 공제 한도 활용: 10년간 면제되는 금액을 고려하여 계획적으로 증여하세요.
차용증 작성: 금전 거래가 대여임을 증명하기 위해 차용증을 작성하고 이자를 지급하세요.
분할 증여: 한 번에 큰 금액을 증여하기보다 여러 번 나누어 증여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부모-자식 간 계좌이체는 일상적인 거래일 수 있지만, 일정 금액을 넘는 순간 증여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국세청은 자금 흐름을 면밀히 추적하며, 특히 고액 이체나 반복 송금은 주의 깊게 봅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와 유의사항을 꼭 기억하여 불필요한 세금 문제 없이 안전하게 가족 간 재정 거래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