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확인하는 방법
취업 준비나 기업 거래, 정부 지원사업 참여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해당 기업이 대기업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기업’이라는 용어는 일상적으로는 자주 쓰이지만, 법적으로는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죠. 이 글에서는 대기업을 확인하는 방법과 참고할 수 있는 공식 사이트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대기업의 기준은 무엇일까?
대한민국에서 ‘대기업’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의미합니다. 이 집단은 자산총액이 10조 원 이상인 기업집단으로, 매년 5월 공정위에서 발표합니다.
또한, 자산총액 5조 원 이상 10조 원 미만인 기업집단은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분류되며, 이 역시 대기업 범주에 포함되기도 합니다.
대기업 확인 방법
1.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포털
사이트:
이용 방법:
‘공시대상기업집단 현황’ 또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현황’ 메뉴 클릭
연도별 지정 기업 리스트 확인
기업명을 검색하여 해당 여부 확인
이곳에서 매년 발표되는 대기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계열사 포함 여부도 함께 조회 가능합니다.
2.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SMINFO)
사이트:
이용 방법:
회원가입 후 로그인
기업명 검색
‘중소기업 여부’ 항목에서 ‘해당 없음’으로 표시되면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일 가능성
이 시스템은 주로 중소기업 확인용이지만,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3. 전자공시시스템 DART
사이트:
이용 방법:
기업명 검색
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 열람
자산총액, 계열사 수, 지배구조 등 확인
자산총액이 10조 원 이상이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참고 팁
공정위 발표 기준은 매년 5월 경 갱신되므로 최신 자료를 확인하세요.
중소기업 확인서가 발급되지 않는 기업은 대부분 중견기업 이상입니다.
기업의 자산총액은 사업보고서에서 확인 가능하며, 10조 원 이상이면 대기업으로 간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