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지오 운영 관리

레지오 마리애는 전 세계 가톨릭 평신도 단체 중 가장 체계적인 조직 구조를 갖춘 단체 중 하나입니다. 그만큼 운영과 관리 체계도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평의회와 간부들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레지오 마리애의 운영 원칙과 관리 체계를 정리해봅니다.


레지오 조직 구조의 핵심: 평의회 체계

레지오 마리애는 피라미드형 조직 구조를 갖고 있으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쁘레시디움(Praesidium): 가장 기초 단위로, 본당 단위에서 활동

  • 꾸리아(Curia): 여러 쁘레시디움을 관할하는 중간 평의회

  • 꼬미씨움(Comitium), 레지아(Regia), 세나뚜스(Senatus): 지역 및 국가 단위의 상급 평의회

  • 꼰칠리움 레지오니스 마리애(Concilium Legionis Mariae):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전 세계 본부

각 평의회는 상급 평의회의 인가를 받아 설립되며, 조직의 일치성과 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수원 천지의 모후 레지아

레지오 운영 관리 : 네이버 블로그

레지오마리애 관리와 운영 지침서


운영 원칙과 관리 기준

레지오의 모든 평의회는 다음과 같은 공통된 운영 원칙을 따릅니다:

  • 정기 회합: 최소 월 1회 이상 회의를 개최해야 하며, 회의 순서는 쁘레시디움 주회와 동일한 형식을 따릅니다.

  • 간부 구성: 영적 지도자, 단장, 부단장, 서기, 회계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 시 보조 간부를 둘 수 있습니다.

  • 간부 선출: 평의회 의원들의 비밀 투표로 선출되며, 상급 평의회의 인준을 받아야 합니다.

  • 임기: 간부의 임기는 3년이며, 1회 중임이 가능합니다.


관리의 핵심: 일치성과 확장

레지오 운영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조직의 일치성과 영적 이상 유지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관리 항목이 강조됩니다:

  • 단헌과 규칙 준수: 모든 단원은 단헌을 지키며, 주회 출석과 주간 활동을 성실히 수행해야 합니다.

  • 조직 확장: 새로운 쁘레시디움과 평의회 설립을 통해 레지오의 사명을 넓혀갑니다.

  • 상급 평의회에 대한 충성: 각 평의회는 상급 평의회에 보고하고 지도를 받으며, 일관된 운영을 유지합니다.


회의 운영과 좌석 배치

  • 좌석 배치: 간부들은 제대를 중심으로 영적 지도자, 부단장, 단장, 서기, 회계 순으로 앉으며, 평의원들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합니다.

  • 회의 진행: 기도, 보고, 토의, 활동 계획 등으로 구성되며, 회의 시간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 헌금: 비밀 주머니 헌금은 의무 사항은 아니며 자율적으로 진행됩니다.

레지오 마리애의 운영과 관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영성과 사명을 실현하는 기반입니다. 체계적인 구조와 정기적인 회합, 그리고 단원 간의 일치된 정신이 레지오를 오늘날까지 이어오게 한 원동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