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경로우대 적용 지역
고령층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경로우대 교통카드 제도는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버스 요금 감면은 지역별로 적용 범위와 방식이 다르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버스 경로우대가 적용되는 주요 지역과 혜택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경로우대 교통카드란?
대상: 만 65세 이상 내국인
발급처: 주민등록상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지정 금융기관
형태: IC카드형 또는 복지카드 연동형
기능: 시내버스, 마을버스, 일부 광역버스 및 지하철 요금 감면
버스 경로우대 적용 지역 및 혜택
지역 | 적용 범위 | 혜택 내용 |
---|---|---|
서울 | 시내버스, 마을버스 | 무료 이용 가능 (지하철 포함) |
경기 | 시내버스, 마을버스 | 무료 또는 50% 할인 (시군별 상이) |
인천 | 시내버스, 마을버스 | 무료 이용 가능 |
부산 | 시내버스, 마을버스 | 교통카드 등록 시 무제한 무료 |
대전 | 시내버스 | 경로용 교통카드로 무료 이용 |
광주 | 시내버스 | 월 정액 교통패스 운영 (65세 이상 대상) |
제주 | 시내버스 | 도민증 등록 시 전면 무료 |
대구 | 시내버스 | 복지카드 연동 시 무료 또는 감면 |
울산 | 시내버스 | 일부 노선 무료, 시범 확대 중 |
강원·충청·전라·경상 일부 시군 | 시내버스 또는 농어촌버스 | 지자체별 예산에 따라 무료 또는 할인 운영 |
※ 광역버스는 대부분 유료이나, 일부 시군에서는 자체 예산으로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신분증, 사진 1매 지참
온라인 신청: 일부 지자체는 모바일 앱(카카오T, 티머니 등) 연동 가능
카드 수령 후 등록: 교통카드사 또는 지자체 시스템에 등록해야 혜택 적용
유의사항
지자체 거주자만 해당 지역 혜택 적용
카드 분실 시 재발급 비용 발생 (최대 3,000원)
무단 양도·대여 시 사용 정지 및 불이익 가능
예산 소진 시 혜택 축소 가능성 있음
버스 경로우대 제도는 단순한 요금 감면을 넘어, 고령층의 사회 참여와 이동권 보장을 위한 중요한 복지 정책입니다. 거주 지역의 적용 범위와 신청 방법을 정확히 확인하고, 정당한 권리로서 적극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